작은 아씨들 | 루이자 메이 올컷 지음, 유수아 옮김 | 펭귄클래식
사랑스럽지 않은 인물이 없다. 온 세상 소녀들의 필독서가 된 이유를 다시 발견한다. 믿음과 사랑과 헌신과 교훈을, 끈끈한 우정과 자매애와 설레는 사랑이 돈독한 의지와 힘으로 자리 잡아 가는 모습을 보게 된다. 시끄러운 세상에서 잠시 물러나 솜털 같은 구름 속에 파묻히고 싶을 때 최적인 독서처방, <작은 아씨들>이다.
문학동네 ‘인문서가에 꽂힌 작가들’에서 선보인 루이자 메이 올컷 <가면 뒤에서>를 읽고 반해 거슬러 올라가 확인한 경우다. 시대적인 분위기와 압박, 집필 의도 등이 <작은 아씨들>과 겹치지 않는 색깔의 <가면 뒤에서>를 만들어냈으리라는 짐작을 해보면서도, 그들이 완전한 서로소 관계는 아니어서 교집합이 꽤 있고, 그게 좋았다. “진, 돌아가서 편지를 마저 써야 할까요, 아니면 여기 남아 당신에게 이 노인이 당신을 딸 이상으로 사랑하고 있다고 말해야 할까요?”(<가면 뒤에서>) 이렇게 말하는 존경받는 노신사 존 경을 <작은 아씨들> 바에르 씨에게서 다시 발견.
“조, 당신에게 줄 거라고는 내 넘치는 사랑밖에 없소. 당신이 내 마음을 받아줄 수 있을지 알아보려고 이곳에 온 거란 말이오. 내가 친구 이상이라는 확신을 가질 수 있을 때를 기다린 거요. 당신의 가슴 한 켠에 날 위한 자리를 마련할 수 있겠소?” (2권 369)
독서가 여행과 같다고 할 때는 일상을 ‘일시정지’해 준다는 의미도 크게 포함할 터다. 메르스도 총리 청문회도 <작은 아씨들>의 나라에선 없었다. 독서가 여행과 같다고 할 때는 여행이 끝났을 때 일상을 고스란히 다시 안는다는 의미도 있을 터다. 메르스도 자격미달인 총리 후보도 그대로였다. 독서가 여행과 같다고 할 때는 여행이 이대로 계속되었으면, 하는 마음도 있을 터다. 영원히 아이로 머물 수 없는 아쉬움 비슷하게.
“하지만 테디, 우리는 이제 소년과 소녀로 다시 돌아갈 수 없어. 그 행복했던 옛 시절은 돌아올 수도 없고, 기대해서도 안 돼. 우리는 다 큰 성인들이잖아. 놀이 시간은 끝이 났고, 이제 장난도 포기해야 해. 그 대신 각자에겐 진지하게 임해야 할 일이 있는 거지. 네가 변한 걸 보니 너도 그 사실을 느끼고 있겠지. 나도 변했어. 내 어린 친구를 그리워하는 만큼 지금의 너도 사랑할 거야.” (2권 325-326)
|
덧글